카테고리 없음

MMPI에 대하여

임상심리사777 2023. 7. 1. 02:02

1.mmpi 7단계

1. 검사태도에 대한 검토

2. 척도별 점수에 대한 검토

3. 척도간 연관성에 대한 검토

4. 척도간 응집 및 분산에 대한 분석

5. 낮은 임상척도에 대한 검토

6. 형태적 분석

7. 전체 프로파일 형태에 대한 분석

 

2. mmpi ?표 척도상승 경우 5가지

1. 강박성으로 응답에 과도하게 집착하는 경우

2. 부주의나 혼란으로 인해 문항을 빠뜨리는 경우

3. 방어적인 태도로 거부감을 느끼거나 검사지 불신 비협조적이고 반항적인 태도를 보이는 경우

4. 극도의 불안이나 우울증상을 보이는 경우

 

 

3.mmpi 4-9 척도 (4가지)

1. 반사회성 성격장애, 양극성 장애 진단이 가능

2. 충동적 반항적성격과 과격하고 공격적 행동 특징

3. 일시적 좋은 인상을 주기도 하지만 자기 중심적 성향

4. 무책임하여 신뢰감 주지 못하며 , 반사회적 범죄행위

 

 

4. mmpi 9척도 상승

1. 과잉활동

2. 경쟁적이고 공격적

3. 쉽게 권태하고

4. 충동통제가 어려움

 

5.mmpi 6-8 척도 (편집,분열증)

1. 열등감 죄책감 의심

2. 변덕 분열적 환상에 빠짐

3. 스트레스 받는 경우감정 둔화

4. 우울증

5. 피해망상, 과대망상, 환청으로 괴로움

 

9. mmpi -2 재구성 임상척도 개발 이유

1. 원판 경험적으로 구성, 척도의 차별적 해석의 어려움

2. 중복채점 문항 핵심적 구성개념 관련 특성이 얼마나 반영되었는지 판단하기 어려움

3. 공통적인 정서적 고통으로부터 변량이 얼마나 반영되었는지 판단 어려움

4. 해석상의 모허함감소. 변별력 증가 목적